본문 바로가기

생활 지식

되요? 돼요?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정리!!

반응형

우리말 중에서 자주 헷갈리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'되요'와 '돼요' 인데요!!

두 표현은 비슷해 보이지만, 엄연히 다른 맞춤법을 가진 단어입니다.

오늘은 이 둘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, 더 이상 헷갈리지 않도록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.

되요 vs 돼요 – 기본 개념

✅ 돼요 (O)

  • '되다'의 활용형
  • '되 + 어요'가 줄어든 형태
  • 자연스럽게 줄여 발음할 때는 '돼요'가 맞습니다.

예시:

  • 돼요 (잘 되다)
  • 그렇게 돼요 (그렇게 되다)
  • 무사히 돼요 (무사히 되다)

🚫 되요 (X)

  • 표준어로는 사용되지 않는 잘못된 표현입니다.
  • '되다'가 '되어'로 변할 때는 항상 '돼'로 줄어듭니다.

틀린 이유: '되다'는 '되어'로 변할 때 '돼'로 줄여야 하기 때문에 '되요'는 올바르지 않습니다.

올바른 구분 방법

  • '되어요'로 바꿔서 자연스러우면 '돼요'가 맞습니다.
  • 예시:
    • 이 일은 잘 되어요 (돼요)
    • 내일 만나도 되어요 (돼요)

 헷갈리지 말자!

*되어요에 줄인말 돼요 라고 생각하시면 돼요^^

이제 '되요'와 '돼요'의 차이를 확실히 이해하셨나요?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,

오늘 배운 내용을 꼭 기억해 두세요! 😊

반응형